돈이 만드는 세상

여기저기 조사해본 주식 리서치의 과정 본문

경제/돈이 만드는 세상

여기저기 조사해본 주식 리서치의 과정

피델리오 2021. 5. 5. 19:10

여기저기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과 도움이 될만한 리서치 과정들을 모아봤습니다.

 

목차

  • 연간 감사 보고서 10-K 및 MD&A 부분
  • 회사 프레젠테이션 및 Earnings Call - 어닝스(컨퍼런스) 콜
  • 경쟁사 분석
  • 주가를 움직이는 변수들을 체크

 

 

연간 감사 보고서(10-K) 및 MD&A 파트


미국 주식의 공시자료를 확인하다보면 10-K라는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K는 말그대로 연간 감사 보고서로써 많은 내용들이 담겨있습니다. 1) 회사에 대한 소개, 2) 산업에 대한 소개, 3) 회사의 위험 요인, 4)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현금 흐름과 같은 중요한 내용들이 포함되어있습니다.

 

특히 MD&A 파트는 회사의 재무 상황(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등)에 대해 요약을 해준 파트입니다. 10-K 공시에서 가장 우선시로 봐야할 파트는 아무래도 회사의 재무랑 관련이 있는 MD&A 파트라고 생각합니다. 특정 매출에 대해서도 주석을 통해 설명을 해주기 때문에 자세하게 읽어보면 큰 도움이 됩니다.

애플의 10-K - MD&A

 

그렇다면 '재무제표, 손익계산서나 현금 흐름에서 무엇을 중점으로 봐야하나'에 대한 문제는 DP라는 유튜버 분의 영상을 추천드립니다. 기초적인 부분을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셔서 쏙쏙 이해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회사 프레젠테이션 및 Earnings Call - 어닝스(컨퍼런스) 콜


'회사 프레젠테이션 및 Earnings Call - 어닝스(컨퍼런스) 콜'과 같은 자료들은 구글에 '(회사 이름) inverstor Relations'라고 치시면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닝스 콜 같은 경우 업로드를 해주지 않는 회사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어닝스 콜이 중요한 이유는 구글링으로 알기 힘든 "현재 경영진이 어떤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매우 큰 정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소개했던 책인 '필립 피셔 -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에서도 경영진에 대한 정보를 매우 중요시했습니다. 

 

위에서 말한 현재 경영진이 어떤가라는 애매한 말은 현재 경영진이 무엇을 중점으로 하고 있나, 경영진의 스타일과 같은 세세한 점들입니다.

 

 

경쟁사 분석 및 목표치를 설정


'경쟁사 분석'은 주식 리서치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 같습니다. 자신이 투자하려는 회사를 이해한 후 경쟁사를 조사해 경쟁사에 비해 관심있는 회사가 매력적인 부분과 매력적이지 않은 부분은 아는 것은 중요한 것 같습니다.

 

목표치를 설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제가 본 유튜브 영상에서는 리포트 같은 것들을 참고하거나 여러 가치투자 기준들(EV/EBITDA, PER, EPS 등)을 이용해서 이러한 기준들의 목표치를 설정하라는 방식을 보았습니다.

 

 

주가를 움직이는 변수들(매크로)을 체크


'주가를 움직이는 변수들을 체크'는 말 그대로 매크로(금리, 정책 등)를 포함합니다. 해당 회사의 주가를 미치는 요인들을 그래프를 보면서 이날이날에는 무슨 일 때문에 그랬는지 조사하는 겁니다.

 

애플의 그래프를 예를 들면 4/29 어닝 서프라이즈로 인해 상승을 겪었고 최근 미국 재무부 장관인 옐런의 금리 인상 발언으로 하락을 겪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기적인 정보들만 확인하였는데 만일 주식 리서치를 하게 된다면 좀 더 큰 범위에서 변수를 체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마지막으로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회사, 즉 기업입니다. 기업의 펀더멘탈을 중요시 여기고 펀더멘탈에 악영향이 끼쳐 투자할 시 장기적으로 생각했던 펀더멘탈과 거리가 멀어진다면 과감하게 떠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