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만드는 세상

신세계(이마트), 네이버와 함께 이베이 코리아 인수 본문

경제/돈이 만드는 세상

신세계(이마트), 네이버와 함께 이베이 코리아 인수

피델리오 2021. 6. 16. 18:14

안녕하세요. 피터피셔입니다.

이베이 코리아(G마켓, 옥션, G9)의 매각


신세계(이마트, SSG 닷컴)과 네이버와 손을 잡고서 이베이 코리아를 입찰하였습니다. 이베이 코리아는 국내 전자상거래 3위에 위치하고 이는 기업입니다. 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으로 12%입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네이버가 18%, 쿠팡이 13%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또한, 거래액 기준으로도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위-네이버가 27조원, 2위-쿠팡 21조원, 3위-이베이코리아 20조원 순서입니다. 신세계 그룹의 SSG닷컴은 3조 9000억원 수준입니다.

 

이베이 코리아가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크다보니 여러 언론에서는 이마트가 이베이코리아 인수를 계기로 이커머스 시장 1위 사업자로 퀀텀점프 한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유통업계와 투자은행 업계에서는 4조원대로 입찰하였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통상 기업 인수합병(M&A) 절차와 다르게 본입찰 참가자(신세계, 롯데쇼핑)에게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지 않고 바로 인수자를 확정한 후, 수일 내에 계약을 진행하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큰 이변이 없는 한 이마트가 이베이코리아의 최종 인수자가 될 전망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향후 문제점으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 결합 심사입니다. 네이버가 현재 전자상거래 시장 1위를 점유하고 있는 만큼 3위 기업인 이베이 코리아 인수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기업 결합 심사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기사에 따르면 최근 공정위가 이커머스 업체들의 불공정 행위에 대해 엄격한 잣대를 들이밀고 있어 독점적 지위에 해당하는 말이 나올 가능성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추가로, 이마트는 향후 요기요, 스타벅스 잔여지분 50% 인수 등 추가투자를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이에 부족한 자금 여력을 네이버와 힘을 합치며 보완한다고 합니다. 두 기업의 인수금액은 각각 1조원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뇌피셜

미국 주식 시장의 경우 인수합병 시 피인수기업의 주가가 오르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그러나 인수기업의 주가는 내려가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제가 본 사례로는 세일즈 포스(Salesforce.com)가 지난해 슬랙(Slack)을 인수한 후, 슬랙은 우상향을 하였지만 세일즈 포스의 경우 우상향적인 모습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이번 이마트의 경우는 어떻게 될지 모르겠으나, 3~4조원대의 자금이 투여된 만큼 재무부담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16일)자 가격으로는 166,500(+3.42%)로 마감하였습니다. 개인들이 많이 이탈하였지만, 외국 자금이 대거 유입되서 그런것으로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FOMC 회의로 인해 차익실현하고 나온 외국인들의 자금이 한국 시장에 들어오지 않았나... 뇌피셜을 펼쳐봅니다.